2023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및 월급 연봉
2023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및 월급
2023년 최저임금은 2022년 최저임금인 9,160원에 비해서 5%정도 상승한 9,620원입니다. 2022년도의 최저임금도 2021년 대비 5%인상한것이였는데 작년도와 같이 5%정도 상승한것으로 확인됩니다.
1.2023년 최저임금 한눈에 알아보기
금액 | |
2023년 최저임금 | 9,620원 |
2023년 최저임금에 따른 월급 | 2,010,580원 |
2023년 최저임금에 따른 연봉 | 24,126,960원 |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이며 주 소정근로는 40시간이며 유급 주휴 8시간을 포함한 월급입니다. 2023년 최저임금에 따르면 근로자가 한달에 벌 수 있는 최소의 월급은 201만원정도가 됩니다.
2023년 최저임금에 따른 연봉으로는 매달 201만원을 받았을 경우 1년으로 계산하게 되면 대략 2,412만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최저임금제도는 1인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며 위반시 3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부과가 가능합니다.
2.2023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2023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
월 급여 2,010,580원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월 예상 실수령액은 1,813,340원입니다. 4대보험을 제외한 근로자가 가져갈 수 있는 실수령액입니다. 주5일 근무기준으로 계산된 결과이며 월 근로시간 209시간입니다. 실제 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연봉 실수령액
2023년 최저임금에 따른 연봉 실수령액 계산 결과입니다. 연봉은 2,412만원으로 계산하였으며 년으로 계산할 경우 2,176만원을 받게 됩니다. 월환산금액은 위에 있는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과 동일합니다.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집주인 체크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 준비하면서 알아보고 있는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입니다. 월세를 매달 꾸준히 내고 계신분들이라면 잘 알아보시고 월세로 소득공제 현명하게 받아보셨으면 하
today9.tistory.com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2020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주도 채 남지 않은시간이네요. 연말 마무리 다들 잘하시기 바라며 오늘은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내용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연말정산은 대부분 연초
today9.tistory.com
연말정산 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가 얼마인가
2021년이 다가오고나서 첫 포스팅입니다. 다들 잘 지내셨나요. 올한해도 행복한 한해 되시기 바라며 새해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관련한 이야기입니다. 저도 직장인이다보
today9.tistory.com